Public Health Aff Search

CLOSE


대한공공의학회 20년사 (2000~2020 Years)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모범활동 사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모범활동 사례

부산광역시 남구보건소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모범활동 사례

세계 최초 워크스루, 보건소에서 시작되다

안여현 부산광역시 남구보건소 의무사무관

필자는 민간병원에서의 경력은 많았지만, 보건소에서 의무직 공무원으로는 이제 3년 차, 일에 익숙해질까 말까 하는 초보 공무원이다. 결핵 환자 진료, 예방접종 예진, 보건증 발급 등, ‘음…. 이제 좀 할 만한데?’라고 느낄 때쯤 새로운 일이 터져버렸다. 바로 코로나19!

1. 시작

국내 확진자가 발생하자 보건소는 준비 태세에 들어갔다. 메르스 대응 때 사용하던 음압 텐트를 보건소 앞마당에 세우고 메르스 대응지침을 열심히 숙지하여 드문드문 방문하는 민원인들을 진료하고 검체채취를 하고 직원들과 함께 음압 텐트를 열심히 소독했다.

어느 주말 아침, 잠을 자고 있는데 소장님께서 전화를 하셨다.

“안 선생, 남구에도 확진자가 생겼다.”

순간 정신이 번쩍 들었다. 이제 우리 남구도 최전방이 되어버린 것이다.

2. 물자 부족

매일 매일 본인이 코로나19일까 걱정하는 민원인들이 몰려왔다. 그런데 음압 텐트는 한 개밖에 없는 상태였다. 일선 보건소에서 음압 텐트를 여러 개 구비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았을 것이다. 코로나19 의심환자가 오면 레벨 D 방호복을 입고 검체채취 후 시간당 공기 순환 횟수에 맞춰 적절히 텐트 내 환기를 하고 텐트의 표면을 닦아낸다. 그리고 방호복을 벗고, 다시 새로운 방호복을 입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했다. 무얼 그리도 열심히 소독하냐고 핀잔을 주는 사람도 있었지만, 의료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아는 의료진들은 소독을 게을리할 수가 없었다. 넓은 음압 텐트를 닦다가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비말이 직접 주변에 튀지 않으면 의료진도 안전하고, 텐트도 이렇게 다 닦아낼 필요가 없지 않을까?’

투명한 아크릴 상자를 만들어 의심환자의 상반신을 넣고 의료진은 손만 넣어서 검사하면 비말이 멀리 튀지 않아 환경 소독도 쉬워지고 의료진도 더욱 안전해질 것 같았다. 당장 소장님께 뛰어올라가 아크릴 상자에 대해 설명을 드렸고 소장님께서는 흔쾌히 만들어보라고 허락해주셨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단단하고 작은 아크릴 표면만 닦아내면 되니 환경 소독에 걸리는 시간이 훨씬 줄었다.

pha-ch4-2f1.tif

순조롭게 일이 진행되고 있다고 느끼는 순간 다른 복병이 찾아왔다. 방역물자가 부족해진 것이다. 감염병 위기 경보가 심각으로 격상되고 검체채취는 점점 늘어나는데 마스크와 방호복은 구할 수가 없었다. 음압 텐트에서 아무리 열심히 검사해도 검사 수요를 따라가기 벅찼다. 각각의 의심환자마다 방호복을 갈아입지 않고 검사하자니 교차 감염이 걱정되고, 매번 갈아입자니 방호복이 모자랐다. 또한, 음압 텐트에서 검사는 아무리 빨리 진행해도 의심환자 한 명당 30~40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3. 발상의 전환

‘꼭 음압 텐트 내에서 검사할 필요가 있나?’ 의료진 2인과 의심환자 1인이 들어가는데 저렇게 큰 구조물 내에서 검사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았다. 또한, 의료진과 의심환자가 꼭 접촉하지 않아도 검체채취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다. 감염병 대응에 대한 과거 해외 사례를 검색하고 논문을 읽는 과정 끝에 글로브박스형 검체채취 부스를 만들기로 마음 먹었다. 하지만 문제는 예산이었다. 존재하지 않는 제품을 만들어서 구매하려고 하니 절차가 복잡했고, 또한 예산도 부족했다.

“아니, 안 선생님, 음압 텐트처럼 검증되어 있는 제품을 사지 않고 또 무엇을 만든다는 건가요?”

“음압 텐트 하나 가격이면 검체채취 부스를 두 개 사고도 남습니다. 또 신종 감염병이 끝나고 나면 저희 결핵실에서 객담 채취 부스로 사용할 거니까 헛돈을 쓰는 것도 아니고요.”

설명을 들으신 소장님·과장님·팀장님께서는 검체채취 부스를 만드는 데 동의하여 주셨다. 남구에서는 지방특별교부세 배정을 위한 절차를 밟아 부스를 구매할 예산을 마련해주셨다.

부스가 만들어진 후 검체채취 속도는 3배 이상 빨라졌다. 또한, 방호복 전체가 아닌 검사에 사용한 일회용 장갑만 교체하면 되었기에 방호복도 많이 아낄 수 있게 되었다.

pha-ch4-2f2.tif

4. 민원인 중심으로 생각하라

“내가 저 통 안에 왜 들어가야 해요? 들어가서 코로나19 걸리면 책임지실 건가요?” 떠들썩한 소리에 검체채취 부스로 다가가 보니 민원인과 한바탕 실랑이가 벌어지는 중이었다. 본인은 폐소공포증이 있어 절대로 부스 내에 들어갈 수 없다 했다. 아무리 깨끗하게 소독을 마친 곳이라 설명해도 소용이 없었다. 이런 일은 한 번으로 끝나지 않았다.

“선생님, 휠체어 탄 환자분은 어쩌지요? 부스에 휠체어가 안 들어가는데요?”

“선생님, 아이는 혼자 못 들어가요.”

“선생님, 환자분이 막힌 공간에는 들어가기 싫다고 하세요.”

처음에는 유별난 사람이 많다고만 생각했는데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너무 나(의료진) 중심으로만 생각한 것이었구나.’ 남구보건소는 한 번 더 변신하기로 했다. 바로 환자가 부스 내에 들어가지 않아도 의료진과 직접 접촉 없이도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워크스루 부스를 만들기로 말이다.

이미 뜬금없이 내어놓는 발언에 익숙해지신 걸까? 이번에는 너무 쉽게 일사천리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워크스루 부스를 설치하려면 일반인의 접근이 없는 넓은 공간이 필요했다. 머리를 쥐어짜 보아도 뾰족한 수가 없었다. 이번에는 남구청장님께서 나서주셨다. 자전거 보관소와 공원 산책로를 워크스루 선별진료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신 것이다. 세상 어디에도 없던 워크스루 부스를 사용한 선별진료소가 세계 최초로 부산 남구보건소에 만들어졌다.

pha-ch4-2f3.tif

5. 표준이 필요해

반응이 좋았다. 검사를 받는 사람은 걸어들어온 그대로 잠시 부스 앞에 서서 검사를 받고 그대로 걸어나가면 되었다. 부스의 소독도 훨씬 간편해졌으므로 보건소 직원들도 좋아했다. 하지만 워크스루 선별진료소는 그 누구도 운영해보지 않았던 진료소였다. 하루 3번의 교대시간마다 혼란의 시간이 반복되었다.

“장갑을 어떻게 교체해요? 어느 쪽부터 교체하면 되는 거예요?”

“부스 창은 어디서부터 닦아요?”

“검체는 어떻게 구분해서 넣어요?”

선별진료소 근무는 순번제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담당 공무원은 일주일에 1~2회 정도 참여를 하게 된다. 보건소에서 원래 본인이 하던 업무를 하다가 본인 차례가 되면 근무마다 새로운(?) 마음으로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일이 손에 익을 리가 없다. 게다가 질병관리본부 지자체 코로나19 대응지침은 계속해서 새롭게 변경되었다. 안전하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선별진료소 운영 절차를 명확하게 정할 필요가 있었다. 선별진료소 근무자의 의견을 취합하고 실제 운영 시 문제점을 모아서 남구보건소 선별진료소 운영 매뉴얼을 만들었다. (음압부스 사용 시 / 양압부스 사용시로 각각 구분) 근무자는 근무 전 운영 매뉴얼을 한 번 더 숙지하고, 선별진료소 운영 책임 공무원의 당일 중요 사항에 대한 브리핑 후 근무를 시작하니 안정적 운영이 가능해졌다.

pha-ch4-2f4.tif

날씨는 점점 따뜻해졌지만 기대와는 다르게 코로나19는 잠잠해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전 세계적 대유행이 지속되어 팬데믹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팬데믹 대응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국제표준을 제정하겠다는 계획을 알려왔다. 정말 감사하게도 부산 남구보건소는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 실무작업반’에 참여하여 실제 운영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었고 ‘도보 이동형(Walk-Thru) 선별진료소 표준 운영절차’를 만드는 데 힘을 더할 수 있었다. 결국, 우리나라가 ISO/TC304(보건경영)에 제안한 도보 이동형 선별진료소 표준 운영절차가 3개월여의 국제투표를 거쳐 신규작업표준안으로 채택되었다. 민원인과 의료진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는 작은 마음이 국제사회가 팬데믹 대응에 활용할 표준을 만드는 데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6. 맺음말

3년이라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공공보건의료의 길로 들어선 것을 후회했던 순간들도 많이 있었다. 하지만 위기의 순간 우리는 하나로 뭉쳤고 부족함 안에서도 최전방에서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했다.

pha-ch4-2f5.tif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전국 최초’,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된 부산 남구보건소가 무척 자랑스럽다. 하지만 다시 한번 선택의 시간으로 돌아가 공공보건의료인으로 직업을 선택하는 갈림길에 서게 된다면 주저하게 될 것 같다.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두려움과 절박함을 통해 얻게 된 것이기 때문이다.

계절이 바뀌고 바뀌는 긴 여정 속에서도 서로 도와주고 힘을 북돋워 주는 공공보건의료인들이 있기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 앞으로도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에 우리는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기나긴 터널도 결국은 끝이 있을 것이고 우리는 밝은 태양과 곧 마주하게 되리라 믿는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Seoul Medical Center 156, Sinnae-ro, Jungnang-gu, Seoul 02053, Republic of Korea
Tel: +82-2-2276-7766    Fax: +82-2-2276-7770    E-mail: editorialoffice.ph@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for Public Health and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