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pha/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3.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국립대학교병원 종사자의 공공보건의료 인식과 관련요인

국립대학교병원 종사자의 공공보건의료 인식과 관련요인

Public health care awareness and related factors of medical staff at a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rticle information

Public Health Aff. 2019;3(1):97-107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9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29339/pha.3.1.97
1Public Health and Medical Services Offi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서지환1, 성나연1, 이석구2, 안순기1,
1충남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실
2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Correspondence to: Soon-Ki Ah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 Medical Servi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82 Munhwa-ro, Jung-gu Daejeon, Korea Tel: +82-42-338-2351 E-mail: withspirit09@gmail.com
Received 2019 October 21; Revised 2019 November 25; Accepted 2019 November 30.

Trans Abstract

Objective

The successful role of public health institutions requires the recognition of workers' role as public health service providers and organic cooperation among occup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awareness status of public health care among employs in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by occupation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awareness.

Methods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orker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964 employs (103 doctors, 569 nurses, 128 health technicians and 164 others) were completed using a onlin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ver. 24.0) statistical program.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priorities of public health projects according to whether the participation in the public health plan, the participation in the medical service, and the public health interest.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functional performance scores for public health project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samples t-test. The difference of public health priorities, evaluation scores, and perceptions, interests, and satisfactions of public health care by occupations were analyzed using ANOVA with Sheffe 'post hoc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interest, and satisfaction was analyzed using Corelation Analysi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95%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odds ratio and odds ratio.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was P <0.05.

Results

Regarding the public health care that public health care institutions should perform, The employs considered as supporting vulnerable groups and supplying health care more important. the Evaluation of function performance scores for Disaster and Infectious Disease Response and supporting vulnerable groups were high. The difference in awareness among groups divided by participation in public health plan, participation in medical service activities, and interest in public health was insignificant. Awareness,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car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factors related to public health care awareness were analyzed as interest and satisfaction.

Conclusion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ublic health care perception, interest, and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related to public health care were analyzed with interest and satisfaction. Therefore, public health care awareness can be improved through employees’ awareness raising activities. If employees realize that public health is not only a function of supporting vulnerable groups, but also most of the work they perform, they will be committed to their work with a sense of mission. As a result, the quality of public health services will be improved.

서론

보건복지부는 필수의료 서비스의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하여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2018.10.1.)’을 발표하였다. 금번 종합대책은 권역/지역별 책임의료기관을 지정하는 등 지역의료 기반 강화를 통하여 생명·건강과 직결된 필수의료서비스는 지역 내에서 완결성 있게 충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특히 국립대학교병원을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 지정하여 권역-지역-기초로 이어지는 공공의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공기능강화를 위하여 국립대학교병원을 교육부·복지부가 공동으로 평가하는 등 국립대학교병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1]. 그러나 국립대학교병원을 포함한 대부분의 공공보건의료기관(212개 기관, 2017.12. 기준)에서는 정부추진 공공의료사업, 의료봉사활동, 건강강좌 등 비주도적·단기적·일회성 행사 차원의 지속적이지 못한 공공보건의료를 제공하고 있어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직종 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한 공공보건의료사업의 성공적인 계획과 실행을 위하여 종사자들(의사, 간호사, 보건기사 등)이 생각하는 공공의료기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은 공공보건의료를 직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당사자로서 이들의 공공보건의료 인식도에 따라 서비스의 질과 양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에는 공공보건의료 정책 현황, 발전 방향 등에 관한 연구는 많은 편이나 국립대학교병원의 공공보건의료 기관으로서의 기능수행에 관하여 실제 근무 중인 직원들의 인식 및 직종간의 차이를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기존의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종사자들의 인식조사연구는 고유영[2]의 ‘공공보건의료기관으로서 국립대학병원의 역할에 대한 직종간의 인식차이’가 있었으나, 일개 국립대학교병원(부산대학교병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으며 2008년에 시행된 연구로 최근 국립대학교병원 종사자들의 인식조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는 2018년에 시행된 최근 자료로서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공공의료기관이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하여 종사자들이 생각하는 우선순위를 알아보고 해당 분야의 기능 수행도 평가, 직종 간의 인식차이와 인식도·관심도·만족도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조사대상

조사대상은 A 국립대학교병원(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 등) 2,951명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총 1,042명이었으나 설문을 완료하지 못한 78명을 제외한 총 964명(92.5%)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2. 조사방법

조사는 전산상으로 구현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업무용 전산망에서 온라인으로 설문을 완료한 사람은 누구나 연구대상에 포함하여 전산상의 장애가 없을 경우에는 연구의 중지나 탈락에 해당하는 자는 없었으며, 업무용 전산망에서 팝업창을 클릭하면 설문이 시작되도록 하였다. 설문내용은 A 국립대학교병원에서 제공하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만족도, 관심도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된 총 20문항의 설문조사로서 Likert 5점 척도 11문항, 번호선택형 5문항, 서술형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의 제7조 ‘공공보건의료기관의 의무’에서 명시된 공공보건의료기관이 제공하여 하는 보건의료 「1. 취약계층지원」, 「2. 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 「3. 재난·감염병 대응」, 「4. 질병예방·건강증진」, 「5. 교육·훈련·인력지원」 중 우선순위를 정하게 하였고, 해당 보건의료 사업별 기능수행정도를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1~19점(1점), 20~39점(2점), 40~59점(3점), 60~79점(4점), 80점~(5점)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종사자들의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 역시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4점 이상을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가 있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추가 설문으로는 「공공보건의료계획 참여 여부」, 「의료봉사활동 참여 여부」, 「공공보건의료 관심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의료봉사활동의 경우 참여 경로와 참여하지 못한 사유를 조사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성별, 연령, 근무연수, 직종으로 구분하였으며 근무연수는「1년 미만」, 「2~9년」, 「10~19년」, 「20년 이상」으로 구분하였고, 직종은 의사, 간호사, 보건기사, 기타직으로 구분하였다.

3. 자료 처리 및 분석

자료는 SPSS WIN(ver.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공보건의료계획 참여 여부」, 「의료봉사활동 참여 여부」, 「공공보건의료 관심 여부」에 따른 공공보건의료 사업별 우선순위는 빈도분석, 사업별 기능수행도 평가점수 차이는 Independent-samples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직종별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공공보건의료 우선순위 및 평가점수 차이 및 인식도·관심도·만족도 비교는 ANOVA with Sheffe’ post hoc test, 인식도·관심도·만족도의 상관관계는 Co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인식도와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교차비(odds ratio)와 교차비의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모든 통계량의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제공 보건의료에 관한 인식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제 7조 ‘공공보건의료기관의 의무’에서 명시된 공공보건의료기관이 제공하여 하는 보건의료 5개 항목 (A)취약계층지원, (B)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 (C)재난·감염병 대응, (D)질병예방·건강증진, (E)교육·훈련·인력지원 중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해야하는 보건의료 1개를 종사자에게 선택하게 하였고 독립변수를 공공보건의료계획에 참여한 자와 참여하지 않은 자, 의료봉사활동에 참여한 자와 참여하지 않은 자, 공공보건의료에 관심이 있는 자와 없는 자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보건의료계획 참여 유무, 의료봉사활동 참여 유무, 공공보건의료 관심 유무에 따른 그룹 간의 공공보건의료 우선순위는 거의 동일하였으나 우선순위의 비율은 차이가 있었다. (A) 취약계층지원이 가장 높았고 (B) 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 (D) 질병예방·건강증진, (C) 재난·감염병 대응, (E) 교육·훈련 및 인력지원 순으로 우선순위를 보였다.

Prior offering items of public health Unit : Number(%)

기능수행도 평가에 대한 인식

국립대병원 종사자에게 공공보건의료 5개 분야에 대한 기능수행도를 평가하도록 하고 공공보건의료계획과 의료봉사활동에 참여 유무와 공공보건의료에 관심 유무에 따른 우선순위를 평가한 결과 각 그룹의 평가점수의 분포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C) 재난·감염병 대응, (A) 취약계층지원, (D) 질병예방·건강증진, (E) 교육·훈련·인력지원, (B) 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 순으로 나타났다.

Evaluation of function performance Unit : Score

직종에 따른 인식

의료기관은 여러 직종의 다양한 종사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공보건의료계획 수립 시 여러 직종(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기타직종)이 참여하고 있다. 이에 직종 간의 특성과 인식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제 7조 ‘공공보건의료기관의 의무’에서 명시된 공공보건의료기관이 제공하여 하는 보건의료 5개 항목 (A) 취약계층지원, (B) 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 (C) 재난·감염병 대응, (D) 질병예방·건강증진, (E) 교육·훈련·인력지원을 위한 보건의료 중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해야하는 보건의료 1개를 선택하게 한 결과 직종 간의 공공보건의료 우선순위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A) 취약계층지원이 가장 높았고 (B)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 (D) 질병예방·건강증진, (C) 재난·감염병 대응, (E) 교육·훈련 및 인력지원 순으로 우선순위를 보였다. 기능수행도 평가점수는 기타직종, 의료기사, 간호사, 의사 순으로 점수가 높았으며, 평가 순위는 (C) 재난·감염병 대응, (A) 취약계층지원, (D) 질병예방·건강증진, (E) 교육·훈련·인력지원, (B) 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이었으며, (A) 취약계층지원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항목에 대한 평가점수는 직종 간의 유의한 차이(<0.05)가 있었다고 분석되었다.

Prior offering items of public health, Evaluation of func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occupation Unit : Number(%), Score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및 만족도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를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4점 이상을 각각 인식도가 있는 자, 관심이 있는 자, 만족도가 있는 자로 분류하였으며 전체 조사대상자의 인식도는 9.5%, 관심도는 23.1%, 만족도는 13.6%를 나타냈다. 나아가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를 공공보건의료계획에 참여한 자와 참여하지 않은 자, 의료봉사활동에 참여한 자와 참여하지 않은 자, 공공보건의료에 관심이 있는 자와 없는 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보건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수행하는 대부분의 업무가 공공보건의료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본 조사와 같이 일반적으로 공공보건의료라고 생각하는 공공보건의료계획서 작성, 의료봉사활동 등에 대한 경험이 있는 자에서만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에 규정되어있는 공공보건의료 5개 항목 (A) 취약계층지원, (B) 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 (C) 재난·감염병 대응, (D) 질병예방·건강증진, (E) 교육·훈련·인력지원 등 다양한 종류의 공공보건의료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wareness, interest,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Unit : Number(%)

직종에 따른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및 만족도 비교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를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기타직종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4점 이상을 각각 인식도가 있는 자, 관심이 있는 자, 만족도가 있는 자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직종별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대상과 비교하여 의사는 타 직종에 비하여 관심도가 두 번째로 높았으나 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간호사는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 모두가 타 직종에 비하여 가장 낮았다. 의료기사는 인식도, 관심도가 평균이었으며 만족도는 두 번째로 높았다. 기타직종은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 모두 가장 높았다.

의사는 다른 직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의료봉사 등의 참여가 많은 이유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유추되며, 기타직종은 행정업무의 접촉이 많기 때문에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다양한 정보의 접근성이 수월하여 타 직종에 비하여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유추된다. 이에 반하여 간호사는 업무의 특성상 환자의 곁에서 밀접하게 움직이는 관계로 병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의 접근이 어려워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가 모두 가장 낮은 것으로 유추된다.

Comparison of awareness, interest,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 according to the type of occupation Unit : Number(%)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및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를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4점 이상을 각각 인식도가 있는 자, 관심이 있는 자, 만족도가 있는 자로 분류하였으며,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식도는 관심도(r = 0.458, p<0.001), 만족도(r = 0.463, p<0.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관심도는 인식도(r = 0.458, p<0.001), 만족도(r = 0.460, p<0.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만족도는 인식도(r = 0.463, p<0.001), 관심도(r = 0.460, p<0.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는 모두 서로 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orrelations of awareness, interest, satisfaction Unit : Number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련 요인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독립변수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관심도 및 만족도, 공공보건의료계획서 참여 여부, 의료봉사활동 참여 여부, 성별, 직종, 근무년수, 나이를 사용하였고 95% 신뢰구간에서 교차비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관심도,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만족도, 공공보건의료계획서 참여 여부, 의료봉사활동 참여 여부 등이었다.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는 관심이 있는 자가 없는 자보다 9.222배 높았으며(p<0.001),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만족이 있는 자가 없는 자보다 8.564배 높았고(p<0.001), 공공보건의료계획서 작성에 참여한 자가 참여하지 않은 자보다 3.638배 높았으며, 의료봉사활동에 참여한 자가 참여하지 않은 자보다 2.036배 높았다(p<0.05).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for public heath Unit : Number

고찰

이번 연구는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공공의료기관이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하여 종사자들이 생각하는 우선순위를 알아보고 해당 분야의 기능 수행도 평가, 직종 간의 인식차이와 인식도·관심도·만족도를 조사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A) 취약계층지원, (B) 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 두 가지 항목에 대해서는 모든 그룹에서 동일한 우선순위가 나타나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제공해야 하는 보건의료로서 확실히 인식하고 있는데 반하여 (E)교육·훈련·인력지원은 모든 그룹에서 우선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는 보건의료의 우선순위에서 최하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립대학교병원은 권역 내 공공의료기관의 최상의 위치에 있으며 지방의료원 등의 지역의료기관에 교육훈련, 인력지원을 하여 공공성을 강화하여야 하며 장기적 관점에서 지역 내 의료 완결성을 높이려면 지역 의료인의 교육과 인력지원에 중점을 맞춰야 할 것이기 때문에 공공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공공보건의료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교육, 홍보 등을 통하여 종사자들의 인식도 개선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보건의료 분야별 기능수행도 평가점수는 모든 그룹에서 (C) 재난·감염병 대응이 가장 높았으며, (B) 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는 가장 낮았다. 이는 근래 이슈가 되었던 메르스, 신종인플루엔자 등에 대하여 정부와 의료기관에서 많은 정책과 대책방안 등을 수립하고 예산을 적극적으로 투입한 결과로서 종사자들이 피부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B) 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고위험산모·신생아통합치료센터,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광역치매센터, 정신보건의료센터, 응급의료센터 등을 활발히 운영함에도 불구하고 평가점수가 낮은 것은 해당 사업에 대한 종사자들의 공공보건의료 인식이 낮거나 사업의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선행 연구인 고유영[2]의 ‘공공보건의료기관으로서 국립대학병원의 역할에 대한 직종간의 인식차이’에서도 마찬가지로 공공보건의료기관 종사자들은 공공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의 주체로서 역할과 책임의식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직종별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 직종에 비교하여 의사는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의료봉사활동 참여 기회가 많으며 의사로서의 사명감이 높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유추된다. 또한 기타직종(행정직 등)은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다양한 정보의 접근이 수월하여 타 직종에 비하여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유추되며 이에 반하여 간호사는 업무의 특성상 환자의 곁에서 밀접하게 움직이는 관계로 병원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접근성이 낮아 타직종에 비하여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가 모두 가장 낮은 것으로 유추된다.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는 모두 서로 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공보건의료 인식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관심도,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만족도, 공공보건의료계획서 참여 여부, 의료봉사활동 참여 여부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종사자들의 인식개선 활동을 통하여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 모두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공공의료기관 종사자의 인식 및 직종 간의 차이를 조사한 연구로서 매우 드문 연구이다. 기존의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종사자들의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는 10년 이상 지난 자료이며 공공보건의료기관에서 제공해야 하는 우선적 공공보건의료와 그에 따른 기능수행도 평가점수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금번 연구에서는 공공보건의료계획 참여 여부, 의료봉사활동 참여경험 여부, 공공보건의료 관심 여부를 독립변수로 추가하였고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를 분석대상에 포함하는 등 공공의료기관 종사자의 전반적인 인식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일개 국립대학교병원 종사자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대상의 제한점이 있었다.

결론

국립대학교병원이 수행해야 하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하여 국립대학교병원 종사자들은 주로 (A) 취약계층 지원과 (B) 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 재난·감염병 대응, (A) 취약계층지원에 대한 기능수행도 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공공보건의료계획 참여 여부, 의료봉사활동 참여 여부, 공공보건의료 관심여부로 나눈 그룹간의 간의 인식차이는 미미하였다. 또한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공공보건의료 인식에 관련된 요인으로 관심도, 만족도 등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공공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하여 공공보건의료 주간행사, 교육, 각종 홍보활동 등의 공공보건의료 인식개선 활동을 실시한다면 종사자들의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만족도 모두를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공공보건의료가 단순한 취약계층 지원의 기능만이 아니라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수행하는 대부분의 업무가 공공보건의료로 직·간접적으로 귀결되며 공급이 부족한 보건의료, 재난·감염병 대응, 질병예방·건강증진, 교육·훈련·인력지원 등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올바로 인지하게 된다면 종사자 스스로가 공공보건의료를 수행하고 있다는 사명감을 갖고 업무를 수행하게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공공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필수의료의 지역 격차 없는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공공보건의료발전종합대책 [cited 2018 Oct 1]. Available from: www.mohw.go.kr.
2. 조 영혜, 이 상엽, 이 정규, 고 유영, 이 유현, 김 창훈, et al. 일개 공공병원 종사자의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과 기능수행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농촌의학, 지역건강학회 2012;37(2):67–75.
3. 김 창엽. 한국의 공공보건의료와 공공성 개념. 대한공공의학회지 2017;1(1):65–77.
4. 임 준. 공공보건의료 개념의 재구성과 과제. 대한공공의학회지 2017;1(1):109–127.
5.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 [2 Oct 2018]. Available from: www.law.go.kr.
6. 감 신. 공공보건의료체계 현황과 발전방안. 보건복지포럼 2010;169(38):44.
7. 신 영전, 유 원섭.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의 입법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법학회지 2000;8(1):35–46.
8. 김 남순. 공공보건의료의 현황과 발전방안(지방의료원과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01p. 339–351.
9. 최 정소. 공공보건의료의 이상과 실제 (보건의료시설 확보 측면에서). 보건복지포럼 2005;107:67–80.
10. 심 인옥, 황 은정. 공공보건의료사업 수행과 주민특성이 공공병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16(9):6089–6098.
11. 정 상혁.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확충과 민간병원 발전과의 조화. 대한병원협회지 2005;34(6):38–48.
12. 오 영호. 우리나라의 공공보건의료의 정책방향과 과제. 보건·복지 Issue&Focus 2013;203:1–8.
13. 고 유영. 공공보건의료기관으로서 국립대학병원의 역할에 대한 직종간의 인식차이. 부산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Prior offering items of public health Unit : Number(%)

Planning public health services
Volunteer medical activities
Interest for Public health
Yes No Yes No Yes No
Vulnerable groups 30 (30.3) 218 (27.6) 37 (31.1) 240 (29.3) 56 (25.5) 221 (33.8)
Lack of supply 30 (30.3) 199 (25.2) 32 (26.9) 207 (25.3) 65 (29.7) 174 (24.2)
Infectious disease / disaster 14 (14.1) 153 (19.3) 23 (19.3) 162 (19.8) 39 (17.8) 146 (20.3)
Disease prevention / health promotion 19 (19.2) 172 (21.7) 20 (16.8) 183 (22.4) 51 (23.3) 152 (21.2)
Education / training / human resources Support 6 (6.1) 26 (3.3) 7 (5.9) 26 (3.2) 8 (3.7) 25 (3.5)
Total 99 (100) 791 (100) 119 (100) 818 (100) 219 (100) 718 (100)

* Exclude : ① Nonresponse(N=154), ② Nonresponse(N=27), ③ Nonresponse(N=27)

<Table 2>

Evaluation of function performance Unit : Score

Planning public health services
Volunteer medical services
Interest for Public health
Yes No Yes No Yes No
Vulnerable groups 72.68 70.76 71.23** 70.76** 75.90** 68.58**
Lack of supply 68.54 66.66 65.62** 66.66** 69.53 65.30
Infectious disease / disaster 72.92 71.61 72.87 71.61 77.78** 68.82**
Disease prevention / health promotion 72.38 67.60 68.76 67.60 72.59 65.41
Education / training / human resources Support 70.10 66.82 67.76 66.82 70.64 64.54
Average 71.32 68.69 69.25 68.69 73.29 66.53
*

Idependent-samples t-test

**

Significant value (<0.05)

<Table 3>

Prior offering items of public health, Evaluation of func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occupation Unit : Number(%), Score

Planning public health services
Volunteer medical services
Interest for Public health
Yes No Yes No Yes No
Vulnerable groups 72.68 70.76 71.23** 70.76** 75.90** 68.58**
Lack of supply 68.54 66.66 65.62** 66.66** 69.53 65.30
Infectious disease / disaster 72.92 71.61 72.87 71.61 77.78** 68.82**
Disease prevention / health promotion 72.38 67.60 68.76 67.60 72.59 65.41
Education / training / human resources Support 70.10 66.82 67.76 66.82 70.64 64.54
Average 71.32 68.69 69.25 68.69 73.29 66.53
*

ANOVA with Sheffe’ post hoc test

**

Significant value (<0.05)

<Table 4>

Awareness, interest,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Unit : Number(%)

Planning public health services
Volunteer medical services
Interest for Public health
Yes No Yes No Yes No
Awareness 35 (35.4) 56 (7.1) 30 (25.0) 62 (7.4) 76 (34.1) 16 (2.2)
Non 64 (64.6) 735 (92.9) 90 (75.0) 782 (92.6) 147 (65.9) 725 (97.8)
Subtotal 99 (100) 791 (100) 120 (100) 844 (100.0) 223 (100.0) 741 (100.0)
Interest 48 (48.5) 168 (21.2) 43 (35.8) 180 (21.3) 223 (100.0) -
Non 51 (51.5) 623 (78.8) 77 (64.2) 644 (78.7) - 741 (100.0)
Subtotal 99 (100) 791 (100) 120 (100) 844 (100.0) 223 (100.0) 741 (100.0)
Satisfaction 33 (33.3) 87 (11.0) 30 (25.0) 91 (10.8) 90 (40.4) 31 (4.2)
Non 66 (66.7) 704 (89.0) 90 (75.0) 753 (89.2) 133 (59.6) 710 (95.8)
Subtotal 99 (100) 791 (100) 120 (100.0) 844 (100.0) 223 (100.0 741 (100.0)

<Table 5>

Comparison of awareness, interest,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 according to the type of occupation Unit : Number(%)

Job Variables Number (%) Comparative Job** p-value
Doctors Awareness 14 (13.6) Medical Technicians < 0.05
Interest 35 (34.0) Nurses < 0.05
Satisfaction 8 (7.8) Medical Technicians < 0.05
Nurses Awareness 29 (5.1) Medical Technicians, Others < 0.05
Interest 92 (16.2) Doctors, Medical Technicians, Others < 0.05
Satisfaction 56 (9.8) Medical Technicians < 0.05
Medical Technicians Awareness 18 (14.1) Doctors, Nurses < 0.05
Interest 38 (29.7) Nurses < 0.05
Satisfaction 26 (20.3) Nurses < 0.05
Others Awareness 31 (18.9) Nurses < 0.05
Interest 58 (35.4) Nurses < 0.05
Satisfaction 41 (25.0) - < 0.05
Total Awareness 92 (9.5) - -
Interest 223 (23.1) - -
Satisfaction 131 (13.6) - -
*

ANOVA with Sheffe’ post hoc test

**

Significant value is under the 0.05 level in comparative jobs

<Table 6>

Correlations of awareness, interest, satisfaction Unit : Number

Awareness Interest Satisfaction
Awarenes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1 0.458** .0463**
p-value - 0.000 0.000
N 964 964 964
Inter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0.458** 1 0.460**
p-value 0.000 - 0.000
N 964 964 964
Satisfac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0.463** 0.460** 1
p-value 0.000 0.000 -
N 964 964 964
*

Bivariate correlation test

**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Table 7>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for public heath Unit : Number

변수 세부내역 OR (Odss Ratio) 95% CI
Low Upper
Awareness No - - -
Yes* 9.222 4.747 17.916
Satisfaction No - - -
Yes* 8.564 4.626 15.851
Planning public heath services No - - -
Yes* 3.638 1.789 7.400
Volunteer medical services No - - -
Yes* 2.036 0.981 4.226
Sex Male - - -
Female 0.702 0.334 1.474
Job Doctors - - -
Nurses 0.372 0.119 1.157
Medical-Technicians 0.696 0.243 1.994
Others 0.628 0.237 1.661
Job tenure ~1 - - -
2~9 0.973 0.312 3.036
10~19 1.320 0.307 5.676
20~ 0.650 0.128 3.309
Age 20~29 - - -
30~39 0.431 0.151 1.229
40~49 1.018 0.280 3.701
50~59 1.316 0.291 5.938
*

Significant value is under the 0.05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