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pha/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3.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Awareness of Smoking Cessation Support Services in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Public Health Aff Search

CLOSE


Public Health Aff > Volume 4(1); 2020 > Article
울산광역시 시민 대상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조사

Abstract

Objective

Since the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several smoking cessation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to lower the smoking rates. This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related to smoking cessation support services in Korea and figure out differences in services’ awarenes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s

Cross-sectional approach from the survey of how Ulsan metropolitan citizens perceived the Korean smoking cessation policies was used for analyses(n=700).

Results

In this study, 86.7%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service in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39.0% knewthe specific contents of the service. While 70.6% and 50.3% of the respondents knewabout the smoking cessation treatment program of the medical institution and the Quit Line respectively, 45.4%, 33.4%, 29.0%, and 27.7% of the participants identified the smoking cessation camp of the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 general and professional type, the visiting smoking cessation support service, Quit Bus, and the smoking cessation support service for serviceperson and conscripted policeman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regarding awareness of the smoking cessation support services (except for the Quit Bus).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regarding awareness of all the smoking cessation supportservices.

Conclusions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regarding various smoking cessation support service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in order to promote policy implementations. It is essential to conduct a regular awareness survey on these supportservices and produce publicity strategies based on thisstudy’sresults.

서론

흡연은 각종 암의 위험요인이 되고 심혈관질환, 호흡기질환 등을 유발하며, 이로 인한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 등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따라서 흡연율을 낮추는 것은 대부분의 나라들에서 보건정책 상 우선적인 목표가 되고 있다[2, 3]. 이에 최초의 보건 분야 국제협약인 세계보건기구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rsation on Tobacco Control)이 2003년 채택되고 2005년부터 발효되었으며, 전세계적으로 협약에 따라 흡연율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금연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한국의 흡연율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2017년 기준 남성 흡연율은 38.1%, 여성 흡연율은 6.0% 정도이다[4]. 이러한 흡연율은 2005년 세계보건기구의 담배규제 기본협약을 비준한 이후 담뱃값 인상, 담뱃갑 경고 문구 및 경고 그림 부착, 금연 치료 프로그램, 매스미디어를 이용한 금연 광고 등 다양한 금연 정책의 시도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의 남성 흡연율은 국가 건강증진의 목표를 담고 있는 HP2020 내 흡연율 목표인 29.0%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5].
이처럼 다양한 금연 정책들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흡연율이 감소하지 않는 이유로는 금연이 단순히 개인이 개별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서 성공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6]. 이에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 금연지원센터의 금연캠프와 같이 약물 치료를 병행하면서 적극적으로 금연을 돕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금연 성공률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2017년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한 사람은 424,636명의 4주 금연 성공률은 70.8%, 6개월 금연 성공률은 38.5%이었다[7]. 또 흡연자들이 가까운 지역 내에서 금연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보건소나 지역금연지원센터[9]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8, 9].
이러한 금연에 효과적인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작 인식하고 이용해야 하는 집단들이 이 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이용률이 낮으며, 금연을 위한 전문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다[10]. 이러한 낮은 인식으로 인해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은 흡연율 감소라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힘들게 만들 뿐만 아니라 정부 재원의 낭비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어떤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낮은지, 또한 각 서비스 별로 어떤 계층 또는 집단이 인식이 낮은지 등을 파악하여 맞춤 별 대책이 이루어져야 하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흡연자들이 금연을 위해 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도시 중 하나인 울산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금연지원서비스의 경우 각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는지 여부까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번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민을 대상으로 진행된 금연정책과 금연지원 서비스, 지역 금연지원센터에 대한 인식도 조사 내용 중 다양한 금연지원 서비스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참여자는 울산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인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해당 조사 중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 금연지원센터의 금연캠프(치료형, 일반형) 및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 금연버스, 금연상담전화, 군의경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확인 및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울산대학교병원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 승인을 받아 진행되었다(과제번호: UUH 2017-11-047).

연구참여자

이 연구에는 울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생 100명과 19세 이상 성인 600명이 참여하였다. 울산광역시 시민을 대표하는 표본을 선정하고자 성과 연령 그리고 권역별 인구비례 할당추출(proportionate quota sampling)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 전 연구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및 방식 등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설명하였으며, 연구참여자로부터 자발적인 구두 동의를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의 대가로 연구참여자에게 약 3,000원 상당의 사례품을 제공하였다.

설문조사 진행 및 내용

설문조사 시행 전 연구의 취지, 설문 내용, 지역 금연지원센터 등에 대한 교육을 면접원들을 대상으로 약 1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접원과 연구참여자간 면접을 통해 설문응답을 받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7년 12월 무렵 약 보름 동안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크게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성, 연령, 지역, 학력, 직업, 소득 수준, 흡연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금연지원 서비스 인식 평가에서는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 금연캠프(치료형, 일반형),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 금연버스(Quit bus), 금연상담전화(Quit line), 군의경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응답 척도는 “내용도 잘 알고 있음”, “들어보았으나 내용은 잘 모르겠음”, “들어본 적 없음”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방법

우선적으로 기술적 분석을 시행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금연지원서비스의 경우 각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는지, 서비스의 존재만 알고만 있었는지 아니면 아예 알지 못했는지의 빈도를 확인하였다. 금연지원 서비스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집된 인구사회학적 특성(성, 연령, 학력, 직업, 소득 수준, 흡연여부)을 이용한 카이제곱 또는 피셔의 정확검정을 수행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연령은 20대 이하, 30대~40대, 50대 이상으로 구분하였고, 학력의 경우 중졸 이하, 고졸, 대졸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가구소득의 경우는 월 소득기준 299만원 이하, 300만원이상~499만원 이하, 500만원 이상, 모름/무응답으로 4개로 구분하였으며, 흡연여부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의 기준에 근거하여 평생 동안 100개비(5갑) 이상을 흡연한 경험이 있는 자를 흡연자로 규정하였다. 분석에는 SPSS version 22와 Stata/SE 13.1을 활용하였고, P-value가 0.05 미만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보았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연구참여자는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100명, 19세 이상 성인 600명으로 총 700명이다. 연구참여자들의 구체적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여성이 338명(48.3%), 남성이 362명(51.7%)이었고, 연령대의 경우 50~59세가 131명(18.7%)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 수준은 고졸이 259명(37.0%)으로 가장 많았으며, 소득 수준은 500만원 이상 599만원 이하가 187명(26.7%)으로 가장 많았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에 대한 인식

<Table 2>는 연구참여자들의 보건소의 금연클리닉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나타낸다. 700명의 연구참여자에게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을 때, 607명(86.7%)이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그 중 273명(44.9%)은 보건소에서 제공되는 금연클리닉 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도 잘 알고 있다고 답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성 362명 중 324명(89.5%)이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를 인지하고 있었고, 그 중 158명(48.8%)이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여성의 경우 338명 중 283명(83.7%)만이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를 인지하고 있었고, 그 중 40.6%인 115명만이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이외에도 연령별, 학력 수준별, 소득수준, 흡연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Table 3>은 연구참여자들의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나타낸 결과이다. 연구참여자 700명 중 494명(70.6%)이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그 중 26.7%인 132명이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흡연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흡연자의 경우 262명 중 23.2%인 61명이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지만, 비흡연자의 경우 431명 중 16.2%인 71명만이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이외에도 연령별, 학력수준별, 소득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금연캠프(일반형, 전문형)에 대한 인식

<Table 4>는 연구참여자들의 금연캠프(일반형, 전문형)에 대한 인식을 나타낸 결과이다. 연구참여자 700명 중 268명(38.3%)만이 금연캠프(일반형, 전문형)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그 중 89명(33.2%)만이 금연캠프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 362명 중 186명(51.4%)이 금연캠프를 알고 있었고, 그 중 53명(28.5%)이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여성의 경우 338명 중 132명(39.0%)만이 금연캠프를 알고 있었으며, 그 중 10.7%인 36명만이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이외에도 소득수준, 흡연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

<Table 5>는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인식을 나타낸다. 700명의 연구참여자 중234명(33.4%)만이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그 중 36명(15.4%)만이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흡연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흡연자 262명 중 20명(7.63%)만이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고, 비흡연자의 경우 438명 중 16명(3.65%)만이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이외에도 성별, 학력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금연버스에 대한 인식

<Table 6>은 금연버스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인식을 나타낸다. 연구참여자 700명 중 203명(29.0%)만이 금연버스를 알고 있었으며, 그 중 31명(15.2%)이 금연버스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 362명 중 120명(32.9%)이 금연버스를 알고 있었고, 그 중 17명(14.2%)이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여성의 경우 338명 중 83명(24.6%)만이 금연버스를 알고 있었으며, 그 중 14명(16.9%)만이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이외에도 연령대, 교육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금연상담전화에 대한 인식

<Table 7>은 연구참여자들의 금연상담전화에 대한 인식을 나타낸다. 연구참여자 700명 중 352명(50.3%)이 금연상담전화 서비스를 알고 있었으며, 그 중 79명(22.4%)이 금연상담전화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흡연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흡연자 262명 중 159명(60.7%)이 금연상담전화 서비스를 알고 있었으며, 그 중 38명(23.9%)만이 금연상담전화 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알고 있었다. 비흡연자의 경우 438명 중 193명(44.1%)이 금연상담전화 서비스를 알고 있으며, 41명(21.2%)만이 금연상담전화 서비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이외에도 성별, 학력 수준, 소득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군의경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

<Table 8>은 연구참여자들의 군의경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나타낸다. 연구참여자 700명 중 72.3%인 506명이 군의경 금연지원서비스를 모르고 있었으며, 군의경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해 알고 있는 194명(27.8%) 중 26명(13.4%)만이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흡연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흡연자 262명 중 18명(6.87%)이 군의경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지만, 비흡연자의 경우 438명 중 8명(1.83%)만이 군의경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이외에도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고찰

이 연구는 울산광역시민의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울산에 거주하고 있고, 울산 시민을 대표할 수 있는 일반인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 금연캠프,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 금연버스, 금연상담전화, 군의경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확인 및 분석하였다. 흡연자를 위한 다양한 금연 서비스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추후 금연 서비스 홍보 또는 정책 실행 시 적절한 대상과 방법을 선정하여 정책을 실행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참여자 700명 중 86.7%가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의 존재를 알고 있었고, 44.9%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도 잘 알고 있다고 하였다.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과 금연상담전화는 참여자의 70.6%, 50.3%가 알고 있었던 반면, 금연캠프(일반형, 전문형)와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 금연버스, 군의경 금연지원서비스는 참여자의 38.3%, 33.4%, 29.0%, 27.7%만이 알고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조사한 금연지원 서비스 항목들 중 서비스 내용까지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있던 보건소 금연클리닉과는 달리 금연캠프(일반형, 전문형)와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 금연버스, 군의경 금연지원서비스는 일반인들에게 인식도가 낮았다. 금연캠프(일반형, 전문형)와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는 지역 금연지원센터에 제공하기 때문에 지역 금연지원센터에 대한 인지도도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경우 2004년 10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한 것을 시작으로, 2005년부터는 전국 보건소에서 무료 금연상담 및 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7]. 반면 울산 금연지원센터의 경우 2015년 1기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되어 금연지원센터 1기가 출범하였고, 금연지원센터에서 ‘맞춤형 금연지원서비스’를 금연캠프(일반형, 전문형)와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로 구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1]. 이와 같이 사업 수행 기간이 인지도의 차이를 야기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비교적 최근에 시행되기 시작한 금연지원 서비스의 경우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두어 더욱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이며, 이미 일반인들에게 어느 정도 인식된 서비스의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의 금연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져야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금연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전문형 금연캠프는 높은 금연 성공률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홍보할 필요가 있다. 전문형 금연캠프는 암, 심뇌혈관질환 등 흡연 관련 질병을 가지고 있거나 20년 이상 흡연을 해왔지만 2회 이상 금연실패를 경험한 사람들을 4박 5일 간 입원시키면서 금연교육 및 상담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조재항 등 (2017)의 연구에 따르면 전문형 금연캠프의 6개월 금연 성공률은 66.2%로 보고되어, 다른 금연치료보다 높은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9].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성별, 흡연여부 등에 따라 금연지원 서비스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성별에 따른 금연지원 서비스 인식에 두드러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2017년 기준 우리나라 남성 흡연률(38.4%)이 여성 흡연률(6.0%)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에 성별에 따라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가 있다고 예측된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주변에 흡연 사실을 숨기려고 하는 경향이 있어 실제 흡연률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12]. 실제로 니코틴 대사산물인 코티닌 수치를 활용한 흡연율 보다 자가보고 설문조사를 실시해 파악한 흡연율이 낮게 나타난 연구결과도 존재한다[13]. 박경연(2014)에 의하면 연구대상이었던 흡연 여성들 중 금연에 대한 교육을 받은 사람은 4%에 불과 하였고[14], 김진실 외(2018)에 의하면 보건소 금연클리닉 신규등록자의 경우 남성 89.8%, 여성 10.2%로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15]. 여성 흡연자의 경우에는 여성 흡연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 및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하여 여성 흡연자의 경우 금연프로그램 참여에 소극적이 될 수 있다[16]. 또한 여성흡연자들은 금연이 어려운 점으로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개입이 있으면 보다 쉽게 금연에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12], 여성흡연자를 대상으로 해당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캠페인 등이 필요하다.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는 보건소 금연클리닉과 같은 국가금연지원서비스에 접근이 어렵거나 금연지원서비스 사각지대에 있는 대상자들을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인 만큼 대상으로 하는 계층의 서비스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7]. 금연상담전화의 경우에도 면대면 상담에 어려움이 있는 여성 흡연자들의 금연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개설된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편의 및 맞춤형 금연 지원이 가능하다는 장점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야 한다[17].
교육 및 소득 수준에 따라 금연지원 서비스의 인지도에 차이가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대체로 교육 및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여러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의 경우 이를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은 학력 수준별로 각각 39.9%(중졸 이하), 26.3%(고졸), 26.3%(대졸 이상)이었고, 소득 수준별로는 각각 31.1%(Below 2990 thousand won), 32.1%(3000 thousand ~ 4990 thousand won), 25.2%(5000 thousand won and above)이었다. 교육 및 소득 수준에 따라 흡연율의 불평등이 있음이 알려져 있는데[18], 금연지원 서비스에서도 같은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시행 중인 금연지원 서비스는 거의 대부분 무료로 제공되고 있고,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의 경우 초기 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프로그램을 최종 이수할 경우 그 비용을 환급해주기 때문에[19], 소득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경제적 부담 없이 금연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흡연율에 있어서 교육 및 소득 수준의 불평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금연 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지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울산이라는 지역으로 한정하여 일반인들의 금연 정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체 인구집단의 인식에 대한 평가로 일반화시킬 수 없다. 추후 지역을 확대하여 지역별 각 금연정책에 대한 인식도를 비교 및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인식이 낮은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이용자들의 인지도를 높이는 방안을 고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는 흡연자뿐만 아니라 비흡연자까지 포함한 대상에게 다양한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기적으로 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여 그 추이에 따라 홍보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Notes

Funding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Fund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rant number: RTCC2018SH005).

<Table 1>
Socio-demographic factors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 N %
Gender Male 362 51.7
Female 338 48.3
Age group 16-18 100 14.3
19-29 110 15.7
30-39 111 15.9
40-49 128 18.3
50-59 131 18.7
60-69 87 12.4
70- 33 4.7
Educational level Primary school Graduate or below 8 1.1
Middle school Graduate 155 22.1
High school Graduate 259 37.0
Junior College Graduate 101 14.4
Senior College 63 9.0
Senior College Graduate or above 114 16.3
Occupation Manual 258 36.9
Non-manual 127 18.1
Other 315 45.0
Smoking Status Smoker 262 37.4
Non-smoker 438 62.6
Income level Under 3000 thousand won 106 15.1
3000-3990 thousand won 130 18.6
4000-4990 thousand won 166 23.7
5000-5990 thousand won 187 26.7
6000 thousand won and above 87 12.4
No answer or No response 24 3.4
Total 700 100.0
<Table 2>
Awareness of the health center smoking cessation clinic service
I know the details.
I heard it but I don’t know the details.
I have never heard about it.
P-value
N % N % N %
Gender Male 158 43.6 166 45.9 38 10.5 0.011
Female 115 34.0 168 49.7 55 16.3
Age group Below 20s 66 31.4 98 46.7 46 21.9 < 0.001
30s~40s 108 45.2 114 47.7 17 7.1
50s or more 99 39.4 122 48.6 30 12.0
Educational level Middle school Graduate or below 39 23.9 82 50.3 42 25.8 < 0.001
High school Graduate* 107 41.3 123 47.5 29 11.2
College Graduates or above 127 45.7 129 46.4 22 7.9
Income level Below 2990 thousand won 44 41.5 46 43.4 16 15.1 0.046
3000 thousand~4990 thousand won 105 35.5 150 50.7 41 13.9
5000 thousand won and above 121 44.2 122 44.5 31 11.3
No answer or no response 3 12.5 16 66.7 5 20.8
Smoking Status Smoker 128 48.9 114 43.5 20 7.6 < 0.001
Non-smoker 145 33.1 220 50.2 73 16.7
Total 273 39.0 334 47.7 93 13.3

* It included Junior College Graduate, Senior College

<Table 3>
Awarenes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in medical institution
I know the details.
I heard it but I don’t know the details.
I have never heard about it.
P-value
N % N % N %
Gender Male 72 19.9 194 53.6 96 26.5 0.213
Female 60 17.8 168 49.7 110 32.5
Age group Below 20s 26 12.4 109 51.9 75 35.7 0.027
30s~40s 51 21.3 126 52.7 62 25.9
50s or more 55 21.9 127 50.6 69 27.5
Educational level Middle school Graduate or below 16 9.8 82 50.3 65 39.9 0.002
High school Graduate* 58 22.4 133 51.4 68 26.3
College Graduates or above 58 20.9 147 52.9 73 26.3
Income level Below 2990 thousand won 26 24.5 47 44.3 33 31.1 0.037
3000 thousand~4990 thousand won 60 20.3 141 47.6 95 32.1
5000 thousand won and above 45 16.4 160 58.4 69 25.2
No answer or no response 1 4.2 14 58.3 9 37.5
Smoking Status Smoker 61 23.3 135 51.5 66 25.2 0.032
Non-smoker 71 16.2 227 51.8 140 32.0
Total 132 18.9 362 51.7 206 29.4

* It included Junior College Graduate, Senior College

<Table 4>
Awareness of smoking cessation camp
I know the details.
I heard it but I don’t know the details.
I have never heard about it.
P-value
N % N % N %
Gender Male 53 14.6 133 36.7 176 48.6 0.005
Female 36 10.7 96 28.4 206 60.9
Age group Below 20s 24 11.4 76 36.2 110 52.4 0.448
30s~40s 34 14.2 80 33.5 125 52.3
50s or more 31 12.4 73 29.1 147 58.6
Educational level Middle school Graduate or below 19 11.7 52 31.9 92 56.4 0.667
High school Graduate* 31 12.0 80 30.9 148 57.1
College Graduates or above 39 14.0 97 34.9 142 51.1
Income level Below 2990 thousand won 16 15.1 30 28.3 60 56.6 0.023
3000 thousand~4990 thousand won 41 13.9 81 27.4 174 58.8
5000 thousand won and above 31 11.3 111 40.5 132 48.2
No answer or no response 1 4.2 7 29.2 16 66.7
Smoking Status Smoker 44 16.8 92 35.1 126 48.1 0.009
Non-smoker 45 10.3 137 31.3 256 58.4
Total 89 12.7 229 32.7 382 54.6

* It included Junior College Graduate, Senior College

<Table 5>
Awareness of visiting smoking support services
I know the details.
I heard it but I don’t know the details.
I have never heard about it.
P-value
N % N % N %
Gender Male 26 7.2 118 32.6 218 60.2 < 0.001
Female 10 3.0 80 23.7 248 73.4
Age group Below 20s 15 7.1 53 25.2 142 67.6 0.152
30s~40s 13 5.4 77 32.2 149 62.3
50s or more 8 3.2 68 27.1 175 69.7
Educational level Middle school Graduate or below 5 3.1 43 26.4 115 70.6 0.016
High school Graduate* 7 2.7 78 30.1 174 67.2
College Graduates or above 24 8.6 77 27.7 177 63.7
Income level Below 2990 thousand won 2 1.9 30 28.3 74 69.8 0.273
3000 thousand~4990 thousand won 15 5.1 78 26.4 203 68.6
5000 thousand won and above 18 6.6 86 31.4 170 62.0
No answer or no response 1 4.2 4 16.7 19 79.2
Smoking Status Smoker 20 7.6 81 30.9 161 61.5 0.021
Non-smoker 16 3.7 117 26.7 305 69.6
Total 36 5.1 198 28.3 466 66.6

* It included Junior College Graduate, Senior College

<Table 6>
Awareness of Quit bus
I know the details.
I heard it but I don’t know the details.
I have never heard about it.
P-value
N % N % N %
Gender Male 17 4.7 103 28.5 242 66.9 0.038
Female 14 4.1 69 20.4 255 75.4
Age group Below 20s 13 6.2 49 23.3 148 70.5 0.040
30s~40s 15 6.3 56 23.4 168 70.3
50s or more 3 1.2 67 26.7 181 72.1
Educational level Middle school Graduate or below 2 1.2 39 23.9 122 74.8 0.045
High school Graduate* 10 3.9 59 22.8 190 73.4
College Graduates or above 19 6.8 74 26.6 185 66.5
Income level Below 2990 thousand won 2 1.9 28 26.4 76 71.7 0.376
3000 thousand~4990 thousand won 15 5.1 69 23.3 212 71.6
5000 thousand won and above 13 4.7 73 26.6 188 68.6
No answer or no response 1 4.2 2 8.3 21 87.5
Smoking Status Smoker 11 4.2 73 27.9 178 67.9 0.294
Non-smoker 20 4.6 99 22.6 319 72.8
Total 31 4.4 172 24.6 497 71.0

* It included Junior College Graduate, Senior College

<Table 7>
Awareness of Quit line
I know the details.
I heard it but I don’t know the details.
I have never heard about it.
P-value
N % N % N %
Gender Male 44 12.2 166 45.9 152 42.0 < 0.001
Female 35 10.4 107 31.7 196 58.0
Age group Below 20s 19 9.0 74 35.2 117 55.7 0.082
30s~40s 34 14.2 102 42.7 103 43.1
50s or more 26 10.4 97 38.6 128 51.0
Educational level Middle school Graduate or below 8 4.9 53 32.5 102 62.6 0.001
High school Graduate* 30 11.6 108 41.7 121 46.7
College Graduates or above 41 14.7 112 40.3 125 45.0
Income level Below 2990 thousand won 16 15.1 28 26.4 62 58.5 0.014
3000 thousand~4990 thousand won 36 12.2 110 37.2 150 50.7
5000 thousand won and above 27 9.9 125 45.6 122 44.5
No answer or no response 0 0.0 10 41.7 14 58.3
Smoking Status Smoker 38 14.5 121 46.2 103 39.3 < 0.001
Non-smoker 41 9.4 152 34.7 245 55.9
Total 79 11.3 273 39.0 348 49.7

* It included Junior College Graduate, Senior College

<Table 8>
Awareness of Quit bus
I know the details.
I heard it but I don’t know the details.
I have never heard about it.
P-value
N % N % N %
Gender Male 24 6.6 95 26.2 243 67.1 < 0.001
Female 2 0.6 73 21.6 263 77.8
Age group Below 20s 7 3.3 48 22.9 155 73.8 0.196
30s~40s 13 5.4 65 27.2 161 67.4
50s or more 6 2.4 55 21.9 190 75.7
Educational level Middle school Graduate or below 2 1.2 36 22.1 125 76.7 0.204
High school Graduate* 9 3.5 66 25.5 184 71.0
College Graduates or above 15 5.4 66 23.7 197 70.9
Income level Below 2990 thousand won 7 6.6 20 18.9 79 74.5 0.219
3000 thousand~4990 thousand won 5 1.7 76 25.7 215 72.6
5000 thousand won and above 13 4.7 67 24.5 194 70.8
No answer or no response 1 4.2 5 20.8 18 75.0
Smoking Status Smoker 18 6.9 66 25.2 178 67.9 0.002
Non-smoker 8 1.8 102 23.3 328 74.9
Total 26 3.7 168 24.0 506 72.3

* It included Junior College Graduate, Senior College

References

1.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50 years of progres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GA):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2. Reducing the burden of smoking world-wid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nd their coverage. Drug Alcohol Rev. 2006;25(6):597–609.
crossref pmid pdf
3. Pierce JP, White VM, Emery SL. What public health strategies are needed to reduce smoking initiation? Tob Control. 2012;21(2):258–264.
crossref pmid
4. 국가지표체계. 현재흡연율[Internet]. 2019;서구, 대전광역시, 한국:[Cited on 2019 May 14].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038.

5.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6~2020). 세종, 서울, 한국: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7.

6. Prochaska JJ, Benowitz NL.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Nicotine Addiction Therapy. Annu Rev Med. 2016;67:467–486.
crossref pmid
7.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8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금연). 세종, 서울, 한국: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8.

8. 김 이순, 김 윤희. 보건소 금연클리닉 금연성공자의 재흡연 양상 및 위험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1;22(4):365–376.

9. 조 재항, 이 석환, 손 정우, 양 혜영. 입원 치료형 금연 캠프 프로그램의 금연성공률. 대한금연학회지. 2017;8(2):88–95.

10. 장 윤정. 금연정책에 관한 성인의 인식 및 실태. 한국치위생학회지. 2015;15(6):1073–1082.

11. 울산금연지원센터. [Internet]. 울산: 울산금연지원센터;2019 [cited 30 May 2019]. Available from: https://blog.naver.com/ulsan-nosmoking.

12. 최 은진, 서 미경, 김 동진, 노 정미, 서 경현, 박 순우. 여성흡연음주 요인 파악 및 정책방안 마련. 한국: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13. Jung-Choi KH, Khang YH, Cho HJ. Hidden female smokers in Asia: A comparison of self-reported with cotinine-verified smoking prevalence rates in representative national data from an Asian population. Tob Control. 2012;21(6):536–542.
crossref pmid
14. 박 경연. 한국 흡연여성의 금연의도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2014;21(3):253–263.

15. 김 진실, 강 수정, 김 대진, 최 인영, 최 병선. 전국 보건소 금연클리닉 신규등록자의 성별 금연 성공요인. 대한보건연구. 2018;44(1):17–30.

16. 곽 미영, 황 은정. 금연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이 환자 금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6;17(4):188–198.

17. 임 민경, 신 동욱, 김 현숙. 의사가 의뢰할 수 있는 금연지원서비스. 대한의사협회지. 2018;61(3):163–172.

18. 김 유미, 정최 경희. 건강위험요인에서의 불평등: 우리나라의 현황. 대한의사협회지. 2013;56(3):175–183.

19. 표 지희, 옥 민수, 이 재욱, 한 영주, 조 민우, 이 정아. 병의원 금연치료프로그램 참여자의 금연 경험: 질적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2017;27(4):284–295.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METRICS Graph View
  • 2,954 View
  • 147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PHA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Seoul Medical Center 156, Sinnae-ro, Jungnang-gu, Seoul 02053, Republic of Korea
Tel: +82-2-2276-7766    Fax: +82-2-2276-7770    E-mail: editorialoffice.ph@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for Public Health and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